2025년, 정부는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한 ‘에너지 바우처’를 여름과 겨울철로 나누어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세, 도시가스, 난방비 부담이 커지는 계절에는 이 제도가 실제 생활비 절감에 큰 도움이 되지만, 제도의 존재를 모르거나 신청 조건이 애매해서 놓치는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에너지 바우처의 지원 대상, 신청 방법, 바우처 금액, 사용처까지 정확하고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놓치지 말고 확인하세요!
✅ 에너지 바우처란?
에너지 바우처는 취약계층이 여름철 냉방, 겨울철 난방을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전기·가스·연료비를 지원해주는 복지 제도이니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바우처 금액은 실물 카드나 전기·도시가스 요금 차감 등으로 지급
- 여름과 겨울 두 번 나눠 신청 가능, 통합 신청도 가능
- 본인 신청 없이도 자동 선정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신청 필요
✅ 2025년 지원 대상
에너지 바우처는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 중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 가구에게 지급되니 지원대상인지 체크 해 보시기 바랍니다.
기본 조건 (둘 다 충족해야 함)
① 기초생활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
② 가구원 중 1인 이상이 아래에 해당할 경우 |
- 만 65세 이상 노인
- 만 6세 미만 영유아
- 장애인 등록자
- 임산부
- 중증질환자, 희귀난치질환자 등
📌 단, 교육급여·주거급여 수급자는 해당 안됨
💡 바우처 금액 – 얼마나 지원받을 수 있나?
가구 유형2025년 여름바우처2025년 겨울바우처연간 총액
1인 가구 | 9,000원 | 106,000원 | 115,000원 |
2인 가구 | 13,000원 | 145,000원 | 158,000원 |
3인 이상 | 15,000원 | 173,000원 | 188,000원 |
- 여름: 전기요금 할인 방식
- 겨울: 전기·도시가스 요금 차감, 등유·연탄 바우처 등 사용 가능
📅 신청기간 & 지급 일정
구분일정 (2025년 기준)
신청기간 | 5월 22일 ~ 9월 말까지 |
사용기간 – 여름 | 7월 ~ 9월 말까지 (3개월) |
사용기간 – 겨울 | 10월 ~ 내년 4월 말까지 (6개월) |
※ 1번 신청하면 여름·겨울 모두 자동 지급 가능 (변동 있을 경우 안내 문자 발송)
📝 신청 방법
항목내용
신청처 |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
온라인 가능 여부 | ❌ (직접 방문 필수) |
필요한 서류 | 신분증, 수급자 증명서, 위기요소 확인서류 (임산부확인서 등) |
대리 신청 가능? | 가능 (가족, 요양보호사 등) |
📞 문의처: 에너지바우처 콜센터 1600-3190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 바우처 사용 방법 – 어디서, 어떻게 쓰는지?
방식설명
요금 차감 | 전기, 도시가스 고지서에서 자동 차감됨 |
카드 사용 | 등유, 연탄, LPG 구매 시 사용 가능 (지정된 가맹점) |
유효기간 | 미사용 금액은 소멸되므로 기간 내 꼭 사용해야 함 |
❗ 주의할 점
- 바우처는 가구 단위로 1회 지급
- 주민등록 기준 세대 구성원이 중복 수급할 수 없음
- 사용하지 않은 바우처는 이월되지 않고 자동 소멸
- 겨울용 바우처는 지역에 따라 등유, 연탄, 전기 중 선택 가능
🔚 요약 정리
에너지 바우처는 단순한 지원금이 아닌,
전기요금 부담을 줄여주는 실질적 복지 제도입니다.
조건이 맞는 가구라면 신청만 해도 자동으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니
꼭 거주지 주민센터에 문의하고 접수하세요.
특히 여름철 전기료가 부담되는 5월~6월 신청이 핵심 시기이므로 놓치지말고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