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걸어 다니는 도로 중에 ‘누군가의 이름’이 붙은 명예도로를 본 적이 있나요? 김광석길, 유관순로, BTS로처럼 도로명이 단순한 위치 정보가 아닌 인물, 사건, 문화유산을 기리는 공공 상징이 되는 경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명예도로는 지자체가 임의로 붙이는 것이 아니라, 엄격한 심사 기준과 주민 의견 수렴, 역사적 가치 검토 등 다양한 절차를 거쳐 지정됩니다.
이 글에서는 명예도로란 무엇이며, 그 명칭이 어떻게 생기고 지정되는지, 그리고 실제로 서울·부산 등에서 이름이 붙게 된 도로명 탄생 비화까지 재미있고 알기 쉽게 소개합니다.
1. 명예도로란 무엇인가?
명예도로란, 법정 도로명(예: 서울 중구 세종대로) 위에
상징적 명칭을 덧붙여 표기하는 도로 이름입니다.
법적 주소로는 사용되지 않지만, 공공의 기념성과 지역 정체성을 담는 목적으로 지정됩니다.
예시
- ‘세종대로 → 정몽구 명예도로(일부 구간)'
- ‘서울 마포구 → 방탄소년단 명예도로(BTS로드)’
- ‘대구 중구 → 김광석 다시그리기길’
2. 명예도로 명칭 지정 기준 (지자체 공통 규정 기반)
명예도로는 단순히 “좋은 이름”이라고 붙일 수 있는 게 아닙니다.
대부분의 광역·기초 지자체는 명예도로 지정 조례 또는 가이드라인을 따릅니다.
📌 지정 기준 요약
공적성 | 역사적 사건, 공공 기여도 있는 인물 또는 단체 |
지역성 | 지역사회와의 연관성 (출생, 활동, 상징 등) |
기념성 | 특정 기념일, 탄생 100주년 등 계기 있는 경우 |
사회적 파급력 | 시민 관심도, 국내외 인지도 등 고려 |
주민 동의 | 구간 내 주민 동의율 기준 충족 (보통 70% 이상) |
✅ 특히 도로명주소법 제18조와 각 시·도 조례에 따라
명예도로 지정은 공공성 + 절차성이 매우 강조됩니다.
3. 지정 절차: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복잡
명예도로를 만들기 위한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 제안 주체: 지자체, 유족, 단체, 시민 등
- 심의: 지역 도로명주소위원회(공무원 + 전문가 구성)
- 법적 효과: 주소에는 영향 없고, 부가명칭 표기만 가능
4. 서울 명예도로 이야기 – 문화와 인물을 품다
📍 ① 정몽구 명예도로 (서울 중구 세종대로 일부 구간)
- 이유: 현대차그룹의 공공기여와 경제적 상징성
- 특징: 서울시 최초의 민간인 명예도로
- 비화: 일각에서는 기업 명칭 도로 지정에 논란도 있었으나,
서울시 내부 공공기여 평가로 최종 통과됨
📍 ② 방탄소년단 명예도로 / BTS Road (서울 마포구 월드컵북로 일부)
- 이유: 한류의 세계적 영향력 + 마포 출신 멤버 연관
- 특징: 한강공원 진입도로에 “BTS로드” 표지 설치
- 의미: 단순 명칭이 아닌 지역 관광 콘텐츠화의 상징
5. 부산 명예도로 사례 – 항구 도시의 기억을 걷다
📍 ① 고 신상철 선생 명예도로 (부산 서구)
- 이유: 지역 독립운동가로의 기여
- 위치: 선생의 생가 인근 도로 일부
- 특징: 기존 도로명을 변경하지 않고 병행 표기
📍 ② 영화의 거리 (부산 해운대구)
- 사실상 명예도로 성격
- 이유: 부산국제영화제(BIFF)와 해운대 지역 연계
- 현황: 스타 핸드프린팅, 조형물, 거리 전시로 구성
- 효과: 지역문화 축제로의 확장 성공 사례
6. 도로명 하나로 바뀐 지역의 분위기
명예도로는 그 이름 하나로 지역의 인상을 바꿀 수 있는 힘을 가집니다.
관광 콘텐츠, 지역 이미지 마케팅, 주민 자부심 고취 등 다양한 파급 효과가 발생합니다.
💡 실제 효과
- 포털 지도 등록 → 관광객 유입
- 지역 특산물·축제와 연계 가능
- 시민 대상 투표, 행사 유도 → 시민 참여형 정책 확산
✅ 서울시와 부산시는 명예도로를 활용한 도시 브랜딩 전략을 본격적으로 추진 중입니다.
결론: 이름은 단순한 표기가 아니라 지역의 문화자산이다
명예도로는 단순한 표지판이 아닙니다.
이는 지역이 기억하고 싶은 이름을 도시 공간에 새기는 과정이며,
그 이름은 미래 세대에게 지역의 가치와 정체성을 전달하는 공공의 기호체계입니다.
앞으로 더 많은 도시가 지역의 문화, 인물, 사건을 명예도로라는 이름으로 재해석하고,
길을 걷는 시민과 그 가치를 공유하는 문화행정으로 발전하길 기대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 유휴 공공부지 활용 사례 모음 – 버려진 땅에서 피어난 새로운 공간들 (0) | 2025.04.05 |
---|---|
노인요양시설 평가 기준 – 믿고 맡길 수 있는 시설을 고르는 법 (0) | 2025.04.05 |
공공 자전거 위치 추적 시스템 구조 – 교통과 IT가 만든 스마트 이동 인프라 (0) | 2025.04.05 |
하천 관리구역 지정 구조와 기준 – 국토부 수자원국 정책 분석 (0) | 2025.04.05 |
🥦 학교 급식 식재료 납품 프로세스 – 우리가 모르는 식탁 뒤의 행정 시스템 (0) | 2025.04.05 |
📚 기록물관리사 자격증, 어디에 활용될까? (0) | 2025.04.05 |
⚡ 전기차 충전소 설치 민원 해결 사례 모음 – 지역 현실을 바꾼 작은 실천들 (0) | 2025.04.05 |
🎨 공공 미술 프로젝트 진행 방식 – 지자체와 예술위원회의 협력 구조 (1)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