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도로명주소 생성 원리와 작명 기준 – “OO로 123”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by elisa-01 2025. 4. 6.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23”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중앙로 97”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이런 도로명주소는 과연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단순히 길 이름과 숫자를 조합한 것 같지만, 그 안에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규칙이 숨어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도로명주소 체계는 2011년부터 전면 시행된 법정 주소 체계로,
기존의 지번주소(동·번지 기반) 대신 도로 이름 + 건물번호로 이루어진 구조입니다.
이 글에서는 도로명주소가 만들어지는 원리, ‘OO로 123’이 가지는 정확한 의미,
그리고 실제 거리 이름이 붙는 기준과 행정절차까지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매일 쓰지만 몰랐던 주소의 세계, 지금부터 함께 파헤쳐볼까요?

도로명주소 생성 원리와 작명 기준 – “OO로 123”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1. 도로명주소는 왜 생겼을까?

배경내용
기존 주소 체계 '○○동 123-4’ 같은 지번주소 → 토지 기준, 길 찾기 불편
문제점 지번 누락, 중복 번지, 건물 없는 땅에도 주소 존재
개선 필요 내비게이션, 택배, 행정서비스 정확도 떨어짐
해결책 ‘길 이름 + 건물번호’ 중심의 도로명주소 제도 도입 (2011년 7월 전면시행)

✅ 도로명주소는 길을 기준으로 위치를 파악하는 현대형 주소 체계입니다.


2. 도로명주소의 기본 구조는 이렇게 생겼다

✅ 주소 구성 예시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서울시청 본관)

구성 요소의미
시·도 행정구역 상의 광역단위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등)
시·군·구 기초자치단체 (중구, 서초구 등)
도로명 도로에 부여된 공식 명칭 (세종대로)
건물번호 도로를 따라 부여된 번호 (110)
상세주소 필요 시, 건물명·호수 등 (서울시청 본관 1층 등)

3. "OO로"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도로명은 단순한 작명이 아니라,
거리의 성격, 기능, 역사성, 지역명 등을 기준으로 체계적으로 부여됩니다.

도로명 끝자리의미
○○로 폭 8m 이상 도로 (주요 간선도로)
○○길 폭 8m 미만 도로 (이면도로, 주택가 골목 등)
○○대로 폭 40m 이상 도로 (광역도로, 왕복 8차로 이상)

📍 도로명 작명 기준 4가지

기준설명
지역 중심성 주요 도심, 상징 거리 → 시청로, 중앙로, 문화로 등
역사성 반영 지역 위인, 유적 → 세종대로, 유관순로
기능 반영 산업, 교육, 행정 → 산업로, 대학로, 체육로
주변 지명 산·강·동 이름 → 남산로, 한강로, 명동길

✅ 작명은 해당 지자체가 제안하고,
국토교통부 도로명주소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됩니다.


4. “123”은 어떻게 정해질까? – 건물번호의 비밀

건물번호는 도로의 시작점(기점)에서부터
도로 중심선 기준으로 좌우로 거리마다 번호를 매기는 방식입니다.

✅ 번호 부여 원리

위치부여 방식
왼쪽 (기점 기준) 홀수 번호 (1, 3, 5...)
오른쪽 짝수 번호 (2, 4, 6...)
간격 20m마다 번호 증가
중간 건물 거리의 실제 위치에 따라 중간번호 부여 (ex. 121-1)

✅ 예: 기점에서 100m 떨어진 오른쪽 건물은 → 건물번호 10

📌 건물이 밀집된 지역은 세부 건물번호(101, 101-1, 101-2) 형식으로 조정


5. 도로명주소의 실제 적용 사례

📍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521

  • "테헤란로"는 1970년대 한국과 이란의 도시 우호협정 체결로 작명
  • 폭 40m 이상 → '로'가 아닌 '대로'
  • 10m마다 번호 증가 → 역삼역에서 삼성역 방향 520m 지점에 위치

📍 대구 중구 김광석길

  • 문화거리 + 인물명 조합
  • 8m 미만 도로 → ‘길’ 명칭 부여
  • 관할 지자체 주민공청회로 작명 확정

6. 도로명주소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

플랫폼설명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도로명주소 검색, 건물번호 확인, 지도 연동 가능
카카오·네이버 지도 주소 입력 시 도로명주소 자동 연동
부동산 앱 (직방, 다방 등) 지번 + 도로명주소 동시 제공
토지이용계획확인원 부동산 등기에도 도로명주소 필수 기재

✅ 주소창에 'OO길 몇 번지' 입력해도 자동으로 도로명주소로 변환돼요!


7. 생활 속 자주 묻는 질문

질문답변
주소에 '길'이 아니라 '로'인 이유는? 도로 폭이 8m 이상이면 ‘로’ 사용
건물번호는 임의로 정해지는 건가요? 거리마다 간격 기준으로 자동 부여
새 주소 요청은 어디서 하나요? 관할 시청 민원실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기존 지번주소는 쓸 수 없나요? 아직 병행 사용 가능하지만 공공기관은 도로명주소만 사용합니다

결론: "OO로 123"은 과학이다 – 주소 속에 숨겨진 도시의 질서

도로명주소는 단순한 주소 체계가 아닙니다.
그 안에는 도로의 구조, 도시의 역사, 행정의 질서, 시민의 편의성이 치밀하게 계산된 결과가 담겨 있습니다.
무심코 쓰던 주소 한 줄 속에
그 도시를 이해하는 열쇠가 숨겨져 있다는 것, 이제는 조금 다르게 보이지 않나요?

앞으로는 길 이름과 건물번호를 볼 때마다
"왜 이 번호지?"라는 호기심으로,
당신이 사는 도시의 숨은 질서를 발견하는 재미를 느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