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우리 동네가 자율주행 테스트 구역일 수도 있다? 국토부가 공개한 자율주행 시험도로 리스트

by elisa-01 2025. 4. 4.

자율주행차가 실제로 주행할 수 있는 ‘공식 시험도로’가 있다는 걸 아는가? 국토부와 도로공사는 전국에 걸쳐 자율주행 테스트 도로를 지정하고,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지금 공개된 자율주행 우선 시범도로 리스트를 정리해본다.

 

우리 동네가 자율주행 테스트 구역일 수도 있다? 국토부가 공개한 자율주행 시험도로 리스트

1. 자율주행, 이제는 실험실을 벗어나 도로 위로

과거에는 자율주행 기술이
연구소나 시뮬레이터, 한정된 테스트 트랙에서만 이뤄졌다면
지금은 완전히 다르다.
실제 도로, 실제 교통, 실제 날씨 조건에서 테스트되는
‘공공도로 기반 자율주행 테스트’가 본격화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2023년부터
**“자율주행차 시험운행을 위한 우선도로 지정제”**를 통해
전국 곳곳에 실제 시험도로를 지정하고 있다.
또한 한국도로공사는 고속도로 구간 중 일부를 시범 운영 도로로 설정하여
고속 주행 상황에서도 자율주행 기술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 도로들은 일반 차량과 섞여 운행되며,
실시간 교통량, 신호체계, 사고 상황 등
‘현실 조건에서의 자율주행차 반응’을 점검하기 위한 진짜 실험장이다.


2. 자율주행차 시험도로 리스트 – 우리 지역도 포함될까?

📌 2024년 현재, 자율주행차 우선 시험도로로 지정된 주요 도로는 아래와 같다:

🚦 [도시지역 시험도로 – 국토교통부 주관]

지역구간특징
서울 상암 DMC ~ 마포대로 ~ 여의도 5G 기반 실시간 교통정보 연동
세종 세종대로 ~ 정부청사 일대 전용 신호 연계, 커넥티드 ITS 실증
대구 수성구 스마트시티 특화구역 공공 셔틀 운행 중
광주 상무지구 일원 AI 기반 자율주행버스 테스트 중

🛣️ [고속도로 시험도로 – 한국도로공사 주관]

노선구간특징
경부고속도로 죽전휴게소 ~ 수원IC (상·하행 각 3km) 1차선 정밀 GPS + V2X 통신망 구축
중부내륙고속도로 김천 ~ 상주 구간 자율 군집주행 트럭 테스트
제2영동고속도로 마성IC ~ 광주IC 일반 차량 혼합주행 환경 실증

📍 총 시험도로 구간은 약 **25개 지역, 37개 노선(2024년 기준)**이며
추후 2025년까지 50개 이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3. 이 도로들은 어떤 준비가 되어 있을까? – 자율주행 도로 인프라의 핵심

단순히 자율주행 차량이 다닌다고 해서 시험도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이 도로들은 **‘스마트 도로 인프라’**가 철저히 구축되어 있다.

📌 시험도로의 핵심 구성 요소:

항목기능
RTK GPS 정밀 위치 측정 (센티미터 단위 정확도)
V2X 통신기 차량 ↔ 도로 ↔ 관제센터 간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
정밀 지도(HD Map) 도로 구조, 경사, 곡률, 차선 정보까지 포함
ITS 센서 교통량, 신호 변화, 보행자 감지
CCTV & 클라우드 관제 이상 상황 실시간 전송

💡 자율주행차는 단순히 센서만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 차량 내부 인공지능 + 외부 인프라 + 클라우드 분석이 삼위일체로 작동해야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도로들은 ‘스마트시티’의 핵심 인프라로도 연결된다.


4. 우리가 알아야 할 것 – 앞으로 어디까지 열릴까?

📍 국토부는 2025년까지

  • 일반도로 + 고속도로 포함 약 1,000km 이상 자율주행 시험도로 확보
  • 자율주행 레벨 4 이상 차량의 테스트 환경 지원
  • 자율셔틀, 군집주행 화물차, 공공버스 등 실증 확대
    를 추진 중이다.

또한 일반인 입장에서
자율주행차 시험도로가 의미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실제 우리 일상 도로에서 자율주행차가 운행되기 시작했다는 증거
지정된 구간에서는 자율주행차를 눈으로 직접 볼 수 있음
향후 일반 운전자도 ‘자율주행 운전연수’가 가능해질 예정
도로 환경이 스마트하게 바뀌는 시작점

🚘 참고:

  • 일부 시험도로 구간은 운전자 앱에 자율주행 테스트 알림이 표시되기도 하며
  • 도로 표지판에 “자율주행 테스트 구간” 문구가 표기되어 있는 경우도 있음.